카테고리 없음

코인(암호화폐) 초보자를 위한 용어 해설

w-dictionary 2025. 3. 6. 08:32

 

암호화폐 거래에 사용되는 기본적인 용어들을 설명합니다. 예를 들어, '호가', '매수/매도', '익절/손절', '시가총액', '평단', '물타기'와 같은 기본적인 거래 용어부터 '개미털기', '안전벨트 매세요', '코린이', '구조대', '펜트하우스', '김치프리미엄(김프)', '역프', '펌핑', '설거지', '존버' 등 시장 참여자들이 자주 사용하는 은어까지 상세하게 다룹니다.

 

1. 호가 (呼價):
   - 시장에서 매수 또는 매도하려는 가격을 제시하는 행위 또는 그 가격 자체를 의미합니다.

2. 매수 (買受):
   -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행위입니다.


3. 매도 (賣渡):
   - 보유한 암호화폐를 판매하는 행위입니다.

4. 매수벽 (買受壁):
   - 특정 가격대에 많은 양의 매수 주문이 걸려 있어 가격 하락을 막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.

5. 매도벽 (賣渡壁):
   - 특정 가격대에 많은 양의 매도 주문이 걸려 있어 가격 상승을 막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.


6. 익절 (益切):
   - 보유한 암호화폐를 매수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하여 이익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7. 손절 (損切):
   - 보유한 암호화폐 가격이 매수 가격보다 하락했을 때, 추가적인 손실을 막기 위해 손해를 감수하고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 

8. 시가총액 (時價總額):

   - 발행된 암호화폐의 총량에 현재 시장 가격을 곱한 값으로, 시장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 

9. 평단 (平單):

   - 평균 단가의 줄임말로, 여러 번에 걸쳐 암호화폐를 매수했을 때의 평균 매수 가격을 의미합니다.

 

10. 물타기:

   - 보유한 암호화폐의 가격이 하락했을 때, 추가로 매수하여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행위입니다.

 

11. 고점 (高點):

   - 특정 기간 동안 가격이 가장 높았던 지점을 의미합니다.

 

12. 저점 (低點):

   - 특정 기간 동안 가격이 가장 낮았던 지점을 의미합니다.

 

13. 추격매수 (追擊買受):

   - 가격이 상승하는 암호화폐를 보고 뒤늦게 매수하는 행위입니다.

 

14. 조정 (調整):

   -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한 후, 일시적으로 가격 변동폭이 줄어들거나 반대 방향으로 소폭 움직이는 상황을 의미합니다.

 

15. 개미:

   - 개인 투자자를 속칭하는 용어입니다.

 

16. 개미털기:

   - 세력들이 의도적으로 가격을 하락시켜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암호화폐를 팔도록 유도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.

 

17. 세력 (勢力):

   - 시장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규모 자금을 가진 투자자나 집단을 의미합니다.

 

18. 운전수:

   - 특정 암호화폐의 가격을 주도적으로 움직이는 세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.

 

19. 김치 프리미엄 (김프):

   - 해외 거래소의 암호화폐 가격보다 국내 거래소의 가격이 더 높은 현상을 의미합니다.

 

20. 역프:

   - 김치 프리미엄과 반대로, 해외 거래소의 암호화폐 가격보다 국내 거래소의 가격이 더 낮은 현상을 의미합니다.

 

21. 펌핑 (Pumping):

   - 인위적인 매수세 유입으로 인해 암호화폐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.

 

22. 설거지:

   - 펌핑으로 가격을 올린 세력이 보유 물량을 개인 투자자들에게 매도하고 빠져나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.

 

23. 장투 (長投):

   - 장기간 동안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.

 

24. 단타 (短打):

   - 짧은 기간 내에 암호화폐를 매수 및 매도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거래 방식입니다.

 

25. 스윙:

   - 하루 이상에서 몇 주 정도의 기간 동안 암호화폐를 매수 및 매도하는 단타 전략입니다.

 

26. 스켈핑:

   - 아주 짧은 시간(주로 1분 이내) 동안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작은 이익을 반복적으로 얻는 초단타 매매 전략입니다.

 

27. 채굴 (採掘):

   - 작업 증명(PoW) 방식의 암호화폐 네트워크에서 연산을 수행하고 그 보상으로 새로운 암호화폐를 얻는 과정을 의미합니다.

 

28. ICO (Initial Coin Offering):

   -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자금 조달을 위해 새로운 코인을 발행하고 판매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.

 

29. 떡상:

   - 암호화폐 가격이 매우 크게 상승하는 것을 속칭하는 용어입니다.

 

30. 떡락:

   - 암호화폐 가격이 매우 크게 하락하는 것을 속칭하는 용어입니다.

 

31. 우상향 (右上方):

   - 차트에서 가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.

 

32. 존버:

   - '존나게 버티기'의 줄임말로,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보유한 암호화폐를 계속해서 보유하는 행위를 속칭하는 용어입니다.

 

33. 물림:

   - 매수한 암호화폐 가격이 매수 가격보다 하락하여 손실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.

 

34. 시체:

   - 물린 투자자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.

 

35. 패닉셀 (Panic Sell):

   - 시장의 급격한 하락에 대한 공포 심리로 인해 보유한 암호화폐를 투매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.

 

36. 데드캣 바운스 (Dead Cat Bounce):

   - 급격한 하락 이후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짧은 반등 현상을 의미합니다.

 

37. 알트코인 (Altcoin):

   -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암호화폐를 통칭하는 용어입니다.

 

38. 잡코인:

   - 시가총액이 낮고 변동성이 크며, 투자 위험이 높은 알트코인을 속칭하는 용어입니다.

 

39. 메인넷 (Mainnet):

   -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자체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독립적으로 운영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 

40. 에어드롭 (Airdrop):

   - 특정 암호화폐 보유자나 특정 행위 참여자에게 무상으로 암호화폐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의미합니다.

 

41. 기술적 분석 (技術的分析):

   - 과거 가격 및 거래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가격 변동을 예측하려는 분석 방법입니다.

 

42. 추세선 (趨勢線):

   - 차트에서 고점들을 연결하거나 저점들을 연결하여 가격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나타내는 선입니다.

 

43. 지지선 (支持線):

   - 가격 하락 시 매수세가 증가하여 추가적인 하락을 막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대입니다.

 

44. 저항선 (抵抗線):

   - 가격 상승 시 매도세가 증가하여 추가적인 상승을 막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대입니다.

 

45. 이동평균선 (移動平均線):

   -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값을 선으로 연결한 지표로, 가격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47. 골든 크로스 (Golden Cross):

   -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 후 상향 돌파하는 현상으로, 상승 추세 시작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.

 

48. 데드 크로스 (Dead Cross):

   -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 후 하향 돌파하는 현상으로, 하락 추세 시작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.

 

49. 거래량 (去來量):

   - 특정 기간 동안 매매된 암호화폐의 총량을 의미합니다.

 

50. 패턴 분석 (Pattern分析):

   - 차트 상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 모양(패턴)을 분석하여 미래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.

 

51. 반전 패턴 (反轉 Pattern):

   - 기존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차트 패턴입니다 (예: 더블 탑, 더블 바텀, 헤드앤숄더 등).

 

52. 지속 패턴 (持續 Pattern):

   - 기존 추세가 일시적으로 멈추고 다시 이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차트 패턴입니다 (예: 깃발형, 페넌트형 등).

 

53. 보조지표 (補助指標):

   - 가격 및 거래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어 매매 신호나 추세 강도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(예: RSI, MACD, 볼린저 밴드 등).

 

54. RSI (Relative Strength Index):

   - 일정 기간 동안 가격 상승폭과 하락폭의 비율을 이용하여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 

55. MACD (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):

   -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세의 방향, 강도, 전환 시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.

 

56. 스토캐스틱 (Stochastic):

   - 현재 가격이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범위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로,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57. 볼린저 밴드 (Bollinger Bands):

   -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만큼 위아래로 밴드를 그려 가격 변동성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.

 

58. 다이버전스 (Divergence):

   - 가격 움직임과 보조지표 움직임이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, 추세 전환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.

 

59. 엘리어트 파동 이론 (Elliott Wave Theory):

   - 시장 가격이 투자자들의 군중 심리에 따라 일정한 패턴(파동)을 형성하며 움직인다는 이론입니다. 상승 5개의 파동과 하락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된 기본 파동 구조를 가집니다.

 

60. 일목균형표 (一目均衡表):

   - 일본의 호소다 고이치(필명: 일목산인)가 개발한 기술적 분석 지표로, 기준선, 전환선, 후행스팬, 선행스팬(구름대)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시간, 가격, 파동의 균형을 통해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61. 피보나치 되돌림 (Fibonacci Retracement):

   - 피보나치 수열에서 파생된 비율(38.2%, 50%, 61.8% 등)을 이용하여 가격 조정 또는 반등 시 지지선이나 저항선이 될 수 있는 수준을 예측하는 도구입니다.

 

62. 포트폴리오 이론 (Portfolio Theory):

   - 투자 위험을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자산을 적절히 배분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이론입니다.

 

63. DeFi (Decentralized Finance, 탈중앙화 금융):

   - 중앙 기관의 통제 없이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제공되는 금융 서비스를 의미합니다.

 

64. NFT (Non-Fungible Token, 대체 불가능 토큰):

   -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어 고유한 가치를 지니며 다른 토큰으로 대체될 수 없는 디지털 자산을 의미합니다.

 

65. DID (Decentralized Identity, 탈중앙화 신원 증명):

   - 개인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중앙 기관 없이 개인의 신원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.

 

66. IPFS (InterPlanetary File System, 행성 간 파일 시스템):

   - 탈중앙화된 P2P(Peer-to-Peer)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공유하는 프로토콜입니다.